분류 전체보기
-
[감투외전] 새내기에게 알려주는 동아리 고르는 8가지 꿀팁 (2부)감투써보고서 2019. 3. 3. 20:54
이전글 : [감투외전] 새내기에게 알려주는 동아리 고르는 8가지 꿀팁 (1부)1. 보여지는 것과 실제는 많이 다르다2. 친구따라 들어갔다가 피 볼 수도 있다3. 3월은 동아리 장바구니 기간이라 생각하자 4. 나이제인지 기수제인지 미리 파악하자 5. 활동이 끝난 선배들의 역할을 살펴보자. 동아리 거리제에서 관심있는 동아리 부스들을 둘러보고 한 두 곳에서 활동을 시작했다면, 그 곳에서 활동이 끝난 선배들의 역할을 유심히 살펴보자. 이들의 역할이 동아리 운영진의 역할보다 커보인다면 그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걸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동아리는 활동 2년차인 운영진 위주로 돌아가는 게 일반적이다. 공연 동아리 같은 경우는 공연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경험이 필요하다 보니 선배들이 나서지만, 일반적인 동아리 운영에 관..
-
[감투외전] 새내기에게 알려주는 동아리 고르는 8가지 꿀팁 (1부)감투써보고서 2019. 3. 3. 20:29
신입생이 들어오는 봄은 교내의 여러 단체들이 홍보에 열을 올리는 계절이기도 하다. 학교에 갓 입학한 신입생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 지 갈피를 잡기 어렵다. 주로 가까운 선배의 조언이나 친해진 지 얼마 안 된 동기의 제안으로 대학생활을 어떻게 할 지 결정하기가 쉽다. 물론 그렇게 선택한 게 마음에 맞아서 만족스럽게 대학을 다닐 수도 있다. 하지만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어떻게 해야 할 지 몰라 전전긍긍하거나, 그 때 다른 곳을 들어갔어야 했다며 후회할 수도 있다. 나는 3년 동안 동아리연합회를 하면서 70여개의 중앙 동아리들의 흥망성쇄를 지켜볼 수 있었다. 그 경험을 통해 새 학기 새로운 곳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8가지 팁을 공유하고자 한다. 1. 보여지는 것과 실제는 많이 다르다. 너무나 당연한..
-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했던 5가지 이유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2019. 2. 23. 20:35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는 서강대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라는 전공을 만든 사진작가 최근우의 졸업 프로젝트다. 청년서강을 주제로 사진집을 만들고, 전시를 진행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의 200%인 2천만원을 조달해서 진행했다. 필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했고,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 블로그에 연재하고 있다. “최근우가 서강에서 8년간 쌓은 덕이 돌아왔다.”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프로젝트가 마무리될 즈음 내가 근우에게 했던 말이다. 근우가 8년간 학교, 학생회, 동아리 등 가리지 않고 그들의 소중한 순간들을 좋은 사진으로 남겨주었고, 각자가 근우에게 갖고 있는 고마움을 후원으로 돌려준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서강해, 그..
-
[감투써보고서] 정동아리가 되는데 최소 3년이 필요하다고?감투써보고서 2019. 2. 3. 20:50
동연 회장 임기 말에 내 목표는 적어도 5년 동안 동아리연합회와 동아리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었다. 큰 변화와 반발을 수반하는 제도 개선이나 회칙 변경을 내 선에서 끝내고 싶었다. 막 임기를 시작하는 후대 동연회장이라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동연 임원만 3년째였던 나는 밀어부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가장 공을 들였던 것은 동아리지원금 지급 체계였고, 그 다음이 바로 기존에 정동아리와 준동아리로 나뉘어져 있던 체계에서 가등록 동아리를 추가하는 것이었다. 다만 이 제도가 왜 필요한지 내부적으로 충분히 커뮤니케이션하지 못했고, 아쉽게도 지금은 사라지고 말았다. 뒤늦은 미련이겠지만, 그 때 내가 갖고 있던 문제의식과 꿈꾸던 비전은 무엇인지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다. 1. 신규 ..
-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얻은 5가지 인사이트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2019. 2. 3. 03:05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는 서강대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라는 전공을 만든 사진작가 최근우의 졸업 프로젝트다. 청년서강을 주제로 사진집을 만들고, 전시를 진행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의 200%인 2천만원을 조달해서 진행했다. 필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했고,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 블로그에 연재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프로젝트 중에 분석한 내용과 사후적으로 분석한 내용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서강대 동문이라는 명확한 타겟을 대상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와는 성격이 다를 수 있음을 참고하길 바란다. 후킹 목적으로 인사이트라고 거창하게 적었지만, 스스로 역량이 부족함을 알기에 부끄럽다. 그리고 굳이 데이..
-
[감투써보고서] 학교는 왜 버스킹 소음을 허가해줬을까?감투써보고서 2019. 1. 20. 10:54
이번 글에서는 작고 사소한 변화에 관해서 얘기하고자 한다. 요즘은 동아리 거리제나 축제 등의 행사에서 버스킹을 하는 걸 자연스럽게 볼 수 있다. 버스킹은 학생들이 참여할 수 있기도 하고, 들어가는 비용 대비 축제 분위기를 만드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학생회를 하는 3년 동안 나는 교내 버스킹을 지속해서 시도했었다. 버스킹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생지원팀(이하 학지팀) 교직원 선생님의 협조가 꼭 필요했는데, 그 협조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얘기해보고자 한다. * 내가 학생회를 하던 때에는 학생회에서 교직원을 보통 ‘선생님’이라고 호칭했다. 친분이 쌓이면 ‘~쌤’이라고 부르며 지낸다. 1. 버스킹을 처음 시도하다 내가 버스킹을 처음 시도했던 것은 2012년 봄학기 대동제를 할 때였다. 당시 축제 무대와 관..
-
[감투써보고서] 축제 전날, 섭외한 연예인이 펑크를 낸다면?감투써보고서 2019. 1. 20. 03:25
축제 전날에 섭외한 연예인이 펑크를 낸다면 어떨까? 2013년 서강 문화제를 준비하던 당시 SG워너비 김진호가 불후의 명곡에서 대학 공연은 돈을 받지 않는다고 말해서 화제가 되었던 적이 있다. 그걸 보고 어떻게 매니저와 연락이 닿아 섭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전날 일정 확인 차 매니저와 연락을 했을 때, 매니저가 일정을 축제 다음 날로 잘못 알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눈앞이 깜깜했다. 어떻게든 와줄 수 없냐고 사정을 했지만, 매니저는 이미 다른 일정이 잡혀서 어쩔 수 없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안 온다고 하면 실망한 사람들이 축제를 보러 오지 않을 것 같았다. 그냥 모른 척 있다가 당일 무대에서 공지하고 사과를 할까 하는 마음도 들었다. 팀원들 의견도 들어보고 하면서 새벽까지 고민하다 사과문을 썼던 기억..
-
[감투써보고서] 지면 광고는 절대 학생회 지원금이 아니다감투써보고서 2019. 1. 20. 02:53
학생회장에게 갑자기 어떤 제안이 들어온다. 동아리 소개책자나 축제 팜플렛에 광고를 실어주면, 학생회 지원금을 준다는 제안이다. 지원금에 얹어서 팜플렛도 만들어주고, 디자이너가 없다면 디자인도 해준다고 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손해볼 것 없는 제안이다. 학생회는 늘 예산에 쪼들리다보니 별 생각없이 이 제안을 수락하는 경우가 많다. 이번 글에서는 이 제안의 실체에 대해서 밝히고자 한다. 1. 학생회 지원금이 아니라 광고 수주 수수료를 뗀 것이다 업체는 제안한다. 광고 하나 당 학생회 지원금 70~80만원을 주겠다고. 그러나 이를 ‘학생회 지원금’이라고 인식해서는 안된다. 이 제안의 실체는 학생회가 업체를 통해 지면 광고 수주 업무를 맡긴거고, ‘학생회 지원금’으로 명명된 돈은 광고비에서 업체의 수수료를 뗀 나..
-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12TB가 240page가 되기까지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2019. 1. 12. 23:51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는 서강대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라는 전공을 만든 사진작가 최근우의 졸업 프로젝트다. 청년서강을 주제로 사진집을 만들고, 전시를 진행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의 200%인 2천만원을 조달해서 진행했다. 필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했고,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 블로그에 연재하고 있다.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사진집을 만들기 위해 사진작가 최근우가 8년 동안 찍은 사진을 모두 들여다봐야 했다. 전체 사진 용량은 12TB, 몇 장인지 세기도 두려운 이 사진 용량을 덜어내고 덜어내어 455장으로 줄였다. 그 결과 240page의 사진집이 후원자들에게 전달되었다. 근우는 감히 ‘서강’이라는 타이틀을 내세운만큼 잘 만들어야 된다는 부담감이 컸다. 여러..
-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펀딩 목표 200% 달성을 만들었던 5가지 순간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2019. 1. 8. 02:28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는 서강대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라는 전공을 만든 사진작가 최근우의 졸업 프로젝트다. 청년서강을 주제로 사진집을 만들고, 전시를 진행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의 200%인 2천만원을 조달해서 진행했다. 필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했고,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 블로그에 연재하고 있다. “2천만원 정도 필요할 것 같은데?” 내가 근우에게 목표 금액은 어느 정도로 잡고 있는지 물었을 때, 들었던 대답이다. 나는 기겁을 하며 말렸다. 와디즈, 텀블벅 같은 플랫폼에서 여러 프로젝트들을 보더라도 그 정도 금액의 프로젝트는 매우 드물었기 때문이다. 일단 목표를 2,000만원이라고 생각하더라도 2,000만원으로 해놓고 시작하는 것보다, 1,000만원으로 해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