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투외전] 새내기에게 알려주는 동아리 고르는 8가지 꿀팁 (2부)감투써보고서 2019. 3. 3. 20:54
이전글 : [감투외전] 새내기에게 알려주는 동아리 고르는 8가지 꿀팁 (1부)1. 보여지는 것과 실제는 많이 다르다2. 친구따라 들어갔다가 피 볼 수도 있다3. 3월은 동아리 장바구니 기간이라 생각하자 4. 나이제인지 기수제인지 미리 파악하자 5. 활동이 끝난 선배들의 역할을 살펴보자. 동아리 거리제에서 관심있는 동아리 부스들을 둘러보고 한 두 곳에서 활동을 시작했다면, 그 곳에서 활동이 끝난 선배들의 역할을 유심히 살펴보자. 이들의 역할이 동아리 운영진의 역할보다 커보인다면 그 동아리에서 활동하는 걸 재고해볼 필요가 있다. 동아리는 활동 2년차인 운영진 위주로 돌아가는 게 일반적이다. 공연 동아리 같은 경우는 공연을 준비하는 데 있어서 경험이 필요하다 보니 선배들이 나서지만, 일반적인 동아리 운영에 관..
-
[감투외전] 새내기에게 알려주는 동아리 고르는 8가지 꿀팁 (1부)감투써보고서 2019. 3. 3. 20:29
신입생이 들어오는 봄은 교내의 여러 단체들이 홍보에 열을 올리는 계절이기도 하다. 학교에 갓 입학한 신입생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 지 갈피를 잡기 어렵다. 주로 가까운 선배의 조언이나 친해진 지 얼마 안 된 동기의 제안으로 대학생활을 어떻게 할 지 결정하기가 쉽다. 물론 그렇게 선택한 게 마음에 맞아서 만족스럽게 대학을 다닐 수도 있다. 하지만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어떻게 해야 할 지 몰라 전전긍긍하거나, 그 때 다른 곳을 들어갔어야 했다며 후회할 수도 있다. 나는 3년 동안 동아리연합회를 하면서 70여개의 중앙 동아리들의 흥망성쇄를 지켜볼 수 있었다. 그 경험을 통해 새 학기 새로운 곳에서 활동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8가지 팁을 공유하고자 한다. 1. 보여지는 것과 실제는 많이 다르다. 너무나 당연한..
-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크라우드 펀딩이 성공했던 5가지 이유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2019. 2. 23. 20:35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는 서강대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라는 전공을 만든 사진작가 최근우의 졸업 프로젝트다. 청년서강을 주제로 사진집을 만들고, 전시를 진행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의 200%인 2천만원을 조달해서 진행했다. 필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했고,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 블로그에 연재하고 있다. “최근우가 서강에서 8년간 쌓은 덕이 돌아왔다.”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프로젝트가 마무리될 즈음 내가 근우에게 했던 말이다. 근우가 8년간 학교, 학생회, 동아리 등 가리지 않고 그들의 소중한 순간들을 좋은 사진으로 남겨주었고, 각자가 근우에게 갖고 있는 고마움을 후원으로 돌려준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이전 글에서도 언급했지만 ‘서강해, 그..
-
[감투써보고서] 정동아리가 되는데 최소 3년이 필요하다고?감투써보고서 2019. 2. 3. 20:50
동연 회장 임기 말에 내 목표는 적어도 5년 동안 동아리연합회와 동아리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드는 것이었다. 큰 변화와 반발을 수반하는 제도 개선이나 회칙 변경을 내 선에서 끝내고 싶었다. 막 임기를 시작하는 후대 동연회장이라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동연 임원만 3년째였던 나는 밀어부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가장 공을 들였던 것은 동아리지원금 지급 체계였고, 그 다음이 바로 기존에 정동아리와 준동아리로 나뉘어져 있던 체계에서 가등록 동아리를 추가하는 것이었다. 다만 이 제도가 왜 필요한지 내부적으로 충분히 커뮤니케이션하지 못했고, 아쉽게도 지금은 사라지고 말았다. 뒤늦은 미련이겠지만, 그 때 내가 갖고 있던 문제의식과 꿈꾸던 비전은 무엇인지 기록으로 남기고자 한다. 1. 신규 ..
-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얻은 5가지 인사이트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2019. 2. 3. 03:05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는 서강대에서 ‘비주얼 스토리텔링’이라는 전공을 만든 사진작가 최근우의 졸업 프로젝트다. 청년서강을 주제로 사진집을 만들고, 전시를 진행했다.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목표 금액의 200%인 2천만원을 조달해서 진행했다. 필자는 해당 프로젝트의 커뮤니케이션을 담당했고, 프로젝트 비하인드 스토리를 이 블로그에 연재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서강해, 그리고 기억해 프로젝트 중에 분석한 내용과 사후적으로 분석한 내용들을 공유해보려고 한다. 해당 프로젝트는 서강대 동문이라는 명확한 타겟을 대상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크라우드 펀딩 프로젝트와는 성격이 다를 수 있음을 참고하길 바란다. 후킹 목적으로 인사이트라고 거창하게 적었지만, 스스로 역량이 부족함을 알기에 부끄럽다. 그리고 굳이 데이..